환경오염 현장경험의 중요성
페이지 정보
본문
저는 우리나라 대표적인 굴뚝 도시인 포항에서 7년 동안 공부했고, 울산에서는 12년째 살고 있습니다.
포스코에서 발주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느라 포항제철소에 있는 대부분의 대형 굴뚝에 올라갔습니다. 광양제철소뿐만 아니라 타 도시 소재 제철소에서도 대기모니터링을 했습니다. 다이옥신 시료채취를 하느라 여러 도시의 소각장에 다녀오기도 했습니다. 포항공대 출신 중에서 저보다 제철소를 비롯한 산업도시 곳곳을 누비며 온갖 지점에서 시료채취를 한 사람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앞으로도 없을 것 같습니다. 요즘 대학원생들에게 이런 연구를 시키면 자퇴한다고 할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너무 힘들었지만, 학위과정 중의 경험이 지금 울산에서 다양한 환경 연구를 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꼭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특정 현장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오염 현장에 방문해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장비로 오염물질을 분석하고, 모델이나 통계기법을 적용해서 결과를 해석하는 세 단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회의를 통해 공무원과 전문가를 만나고 있는데, 실제로 현장 경험이 없는 분들이 책과 논문으로만 공부하고, 이런 저런 요구를 합니다. 한 번도 제대로 실험을 해보지 않은 분들이 분석결과 정도관리를 이야기합니다. 꽤 오래 전에 모 사무관께서 이상적인 말씀한 하시기에 "소각장 굴뚝 올라가 보셨냐? 다이옥신 실험 구경이라도 해보셨냐? 우리 연구실에서 일주일만 실험해 보시면 지금 하신 말씀을 못하실거다"라고 했습니다. 환경전공자 중에서도 환경오염을 책으로 배운 분들이 꽤 있습니다. 보통 이런 분들이 자문을 하게 되면 비 현실적인 요구를 합니다.
지금 우리 연구실 학생들은 굴뚝에 올라가는 연구를 하지는 않지만, 일반 환경대기, 토양, 물 시료채취는 많이 하는 편입니다. 당장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지만 학위과정 중에 경험하지 못하면 평생 경험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모니터링 연구의 전과정을 배울 수 있고, 연구결과가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환경정책에 반영될 수 있고, 사람과 환경/우리 모두를 위한 연구를 한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연구를 하면 좋겠습니다.
포스코에서 발주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느라 포항제철소에 있는 대부분의 대형 굴뚝에 올라갔습니다. 광양제철소뿐만 아니라 타 도시 소재 제철소에서도 대기모니터링을 했습니다. 다이옥신 시료채취를 하느라 여러 도시의 소각장에 다녀오기도 했습니다. 포항공대 출신 중에서 저보다 제철소를 비롯한 산업도시 곳곳을 누비며 온갖 지점에서 시료채취를 한 사람은 없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아마 앞으로도 없을 것 같습니다. 요즘 대학원생들에게 이런 연구를 시키면 자퇴한다고 할 것 같습니다.
당시에는 너무 힘들었지만, 학위과정 중의 경험이 지금 울산에서 다양한 환경 연구를 하는데 중요한 자산이 되고 있습니다. 꼭 현장에 나가지 않아도 특정 현장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환경오염 현장에 방문해서 직접 시료를 채취하고, 분석장비로 오염물질을 분석하고, 모델이나 통계기법을 적용해서 결과를 해석하는 세 단계를 경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여러 회의를 통해 공무원과 전문가를 만나고 있는데, 실제로 현장 경험이 없는 분들이 책과 논문으로만 공부하고, 이런 저런 요구를 합니다. 한 번도 제대로 실험을 해보지 않은 분들이 분석결과 정도관리를 이야기합니다. 꽤 오래 전에 모 사무관께서 이상적인 말씀한 하시기에 "소각장 굴뚝 올라가 보셨냐? 다이옥신 실험 구경이라도 해보셨냐? 우리 연구실에서 일주일만 실험해 보시면 지금 하신 말씀을 못하실거다"라고 했습니다. 환경전공자 중에서도 환경오염을 책으로 배운 분들이 꽤 있습니다. 보통 이런 분들이 자문을 하게 되면 비 현실적인 요구를 합니다.
지금 우리 연구실 학생들은 굴뚝에 올라가는 연구를 하지는 않지만, 일반 환경대기, 토양, 물 시료채취는 많이 하는 편입니다. 당장 귀찮고 번거로운 일이지만 학위과정 중에 경험하지 못하면 평생 경험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환경모니터링 연구의 전과정을 배울 수 있고, 연구결과가 궁극적으로는 우리나라 환경정책에 반영될 수 있고, 사람과 환경/우리 모두를 위한 연구를 한다는 것에 자부심을 갖고 연구를 하면 좋겠습니다.
- 이전글발암물질을 대하는 우리의 자세 20.11.07
- 다음글국제학술지 논문 실적 100편 달성 소회 20.09.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